카테고리 없음

부(富)와 1만시간의 법칙

해탈한 자산가 2022. 12. 14. 18:00
반응형

손흥민의 아버지, 손웅정은 최고의 축구선수가 되겠다는 꿈과 치열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늘 한계에 부딪혔다. 일찍 선수생활을 마감하고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선수시절의 아픔을 곱씹었다. 어린 시절부터 기본기부터, 체계적인 훈련만 받을 수만 있었더라면.. 그는 아들이 축구에 열의를 보이자 기본기 훈련부터 시켰다.

 

대부분의 남자아이들은 축구를 좋아하지만 선수가 되는 아이들은 소수, 손흥민, 박지성처럼 대선수가 되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는 축구에만 해당되는 현상이 아니다. 세상사 거의 모든 일이 그렇다. 돈도 그렇다. 프로와 아마추어로 나뉘고, 프로 중에서도 극소수만이 아웃라이러(outlier)가 된다.

 

말콤 글래드웰은 그의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이렇게 말한다. “아웃라이어를 만드는 것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오직 연습시간의 차이다. 다섯 살 무렵 음악연주를 시작하지만 대체로 서서히 흥미를 잃어가거나 마지못해 연습하지만 오직 엘리트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만 확고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일주일에 서른 시간씩 몰두했다. 스무 살이 되면 엘리트그룹은 모두 1만 시간을 연습하게 된다. 반면 그냥 잘하는 그룹은 모두 8천시간, 미래의 음악교사는 4천시간을 연습한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1만시간의 법칙이다. 1만 시간을 연습에 매진하는 것은 개인의 의지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 글래드웰에 따르면 격려해주고 지원해주는 부모가 필요하다. 가난해서도 곤란하다라고 지적한다.

아이들이 싫다고 해도 용돈기입장을 작성하게 하고 숙제를 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부자가 될 아이를 가난한 부모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중국 산동에서 가난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난 사진작가, 지아오 보의 『나의 아버지 나의 어머니』란 책에 한평생 가난한 목수로 살아온 아버지의 인생내공수련에 관한 진정한 고수의 가르침이 나온다.

톱질은 하루면 되지만 제대로 된 목공이 되려면 먼저 3년 동안 톱질을 해야 한다. 3년 이란 세월은 톱질을 배우는 데 필요한 게 아니라 두 가지 도리를 깨닫는 시간이다. 첫째는 두 사람이 서로 도와야만 하나의 일을 완성할 수 있다는 이치, 둘째는 인내심이다. 일을 하다가 뜻대로 되지 않고 재미가 없어도 온 정성을 다해 열심히 해야 한다는 이치다. 이 두 가지 도리를 깨우치면 앞으로 목수가 되든 아니면 다른 어떤 일을 하든 모두 훌륭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생의 내공이란 지식에서 나오는 게 아니다. 시간과 경험이 쌓여 만들어진다. 인생고수들의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유다. 1만 시간의 법칙은 동양에선 ‘10년 적공(積功)’이다.

 

어떤 특별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으로 자신을 자리매김하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그 분야에서 지속적이고 정교한 훈련을 최소한 10년 정도 해야만 한다.” 앤드류 카슨의 10년 법칙 이론』에 나오는 말이다. 하워드 가드너 박사는 그의 저서 『열정과 기질』에서 이렇게 말한다.

 

어느 분야의 전문 지식에 정통하려면 최소한 10년 정도는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창조적인 도약을 하려면 자기 분야에서 통용되는 지식에 통달해야 한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10년 정도의 꾸준한 노력이 선행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도약을 할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원인은 하루 아침에 결판을 보려고 하는 조급함 때문이다. 몇 번 해보고 안 되면 그냥 포기하고 만다. 부를 창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몇 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반복과 버티는 힘이 없다면 부의 시스템은 구축되지 않는다.

 

앤서니 라빈스가 백만장자에게 부자가 되는 비결을 물었다. “그거요아주 간단합니다먼저 1달러를 버는 것입니다.” “? 1달러요?”“사람들은 당장에 100 달러를 벌려고 덤빕니다하지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가장 적은 단위인 1달러를 벌어보는 것입니다. 1달러를 성공적으로 벌 수 있으면 점점 더 큰 단위의 돈을 벌 수 있게 될 것입니다그런데 사람들은 적은 단위의 금액에 대해서는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리고 큰 돈을 벌려고 덤비죠, 그러면 돈을 벌 수 있는 성공의 법칙을 배울 수가 없어요그래서 결국 1달러도 못 벌게 되는 것이죠.”

 

작은 성공을 해봐야 큰 성공을 할 수 있다당장 큰 돈을 벌겠다고 무모하게 덤비는 것은 부의 마인드가 아니다부의 고수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은 부자가 되려면 적은 돈을 중요하게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이다

“100달러를 버는 것보다 1달러를 아껴라” 워렌 버핏의 말이다부자가 되는 과정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단순하고도 지루한 과정이다지루함을 견뎌낸 사람들만 부자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대가(大家)란 대가(代價)를 지불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게 ‘1만 시간의 법칙혹은‘10년 법칙이다. 하워드 가드너는 『열정과 기질』에서 어느 분야의 전문 지식에 정통하려면 최소한 10년 정도는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창조적인 도약을 이루려면 자기 분야에서 통용되는 지식에 통달해야 한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10년 정도의 꾸준한 노력이 선행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도약을 이룰 수 없다. 흔히 모짜르트는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라고 말하지만, 그 역시 10년간 수많은 곡을 쓴 다음에야 훌륭한 음악을 연거푸 내놓을 수 있었다.”라고 주장한다.

 

결국 어느 분야에서나 꾸준히 연습하고 훈련하는 습관을 지니지 않고 대가(大家)로 도약한 사람은 없다는 사실이다. ‘1만 시간의 법칙이나 ‘10년 법칙이란 습관의 강력함을 보여주는 법칙이다.

 

빨리 부자가 되려고 하지 마라, 진짜 부는 긴 세월을 요하는 작업이다. 남들의 부는 순식간에 온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착각이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처럼 계속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임계점을 만나게 된다. 몰입의 내공과 시간을 거쳐야만 어느 시점에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게 부().

 

이 세상에 어느 누구도 하루아침에 부자가 된 사람은 없다. 부자에게는 반드시 부자의 습관과 태도가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끝까지 버틴다는 것이다. 이것이 부자로 만들어주는 힘이다. 버티면 이긴다. 적게 버티면 적게 이루고 많이 버티면 많이 이루게 된다. 큰 돈을 모으는 힘은 참고 버티는 힘이다.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