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를 이루는 법칙은 과학이다.
실패와 빈곤 속에서 고통 받던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평생을 부자가 되는 법칙을 찾으려고 애쓰다 드디어 그 법칙을 발견하고 실행으로 옮겨 마침내 부자가 됩니다. 그 사람이 월레스 와틀스입니다. 그는 <부자들의 시크릿 노트>란 책에서 부자가 되는 과학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부자가 되는 것은 과학이다. 대수학이나 산수처럼 정밀한 과학이다. 부를 획득하는 법칙을 배우고 따르면 부자가 될 수 있다. 자신이 소유한 돈과 재산은 어떤 일을 특정한 방식으로 실행한 결과이다. 그 방식으로 실행한 사람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부자가 된다. 그 방식에 따라 실행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리 열심히 일하고 많은 능력이 있어도 가난하게 살아간다. 같은 원인은 항상 같은 결과를 생산하는 게 자연법칙이다. 따라서 특정한 방식으로 실행하는 법을 배운 사람은 남녀를 막론하고 누구나 반드시 부자가 된다."
그 법칙은 무엇일까요?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납니다. 강아지가 커서 개가 되고 망아지는 커서 말이 됩니다.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는 게 인과의 법칙이고 자연의 법칙입니다. 부의 법칙 또한 이 법칙을 따릅니다. 부의 씨앗을 뿌리면 부자가 되고 가난의 씨앗을 뿌리면 가난해집니다.
마시멜
로 실험이란 게 있습니다. 1972년 다섯 살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지금 당장 마시멜로를 먹거나, 아니면 15분을 참았다 한 개를 보상으로 받아 2개를 먹거나.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었습니다. 몰래 카메라를 설치한 방안에 마시멜로 1개와 아이 혼자 남겨두고 나왔습니다.
약 30%의 아이가 15분을 참았고, 70%의 아이들은 참지 못하고 바로 먹었죠. 30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30%가 70%보다 훨씬 더 큰 성공과 더 많은 재산을 소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참지 못하고 바로 먹은 70%의 아이들이 30%의 아이들보다 더 많이 가진 것은 카드 빚이었습니다.
실험이 끝난 후 몰래 카메라를 돌려보니 15분을 참는데 실패한 아이들은 마시멜로를 손으로 만지작거리거나 코와 입에 갖다 되는 행동을 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참는데 성공한 아이들은 하나같이 마시멜로는 쳐다 보지도 않고 다른 놀이에 집중했다고 합니다. 살아가면서 유혹에서 벗어나려면 단호하게 결단하고 결심해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그리고 도전할만한 새로운 목표를 갖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성공 습관입니다.
마시멜로 실험은 만족지연 실험이었습니다. 마시멜로 1개를 얻는 것이 아니라 마시멜로 2개를 얻기 위해 15분을 기다리는 능력이 만족 지연능력입니다. 어떤 물건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자마자 충동적으로 구입하기보다 절약하고 돈을 모은 후 사기 위해 기다리는 능력이 만족 지연이죠. 주식이나 부동산투자 실패자의 결정적 실패 원인도 충동적으로 구매한다는데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소비 지상주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돈을 잘 관리해 부자가 되려면 절제력과 인내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인내심 있는 사람은 손쉽게 카드를 긁어, 물건을 사기보다 적은 돈이라도 한 푼 두 푼 잘 모으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살다 보면 갖고 싶은 모든 물건을 지금 당장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죠. 지금보다 더 좋은 새 집이나 새 차를 사기 위해 기다리는 것도 행복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 빚이 없는 사람과 있는 사람의 중요한 차이는 카드 빚이 없는 사람은 만족지연에 통달한 사람들입니다. 만족 지연의 힘, 욕구를 바로 충족시키려 하기 보다는 만족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부와 성공의 핵심입니다.
부자는 운이 좋고 가난한 사람은 운이 나쁘다는 생각은 자신의 실패나 가난을 정당화시키는 아주 잘못된 생각입니다. 재운을 키우는 비결은 자신도 알게 모르게 지니게 된 가난의 습관을 버리고, 부자 습관을 키우는 것입니다.
부자와 빈자의 비밀을 밝히는 열쇠는 바로 습관에 있습니다, 부자의 습관을 기르면 부자가 되고 빈자의 습관을 가지면 부자와는 거리가 멀게 됩니다. 원인이 되는 씨앗을 심어야만 열매라는 결과물을 낳게 됩니다.
어째서 부자는 계속 부유해지는 걸까요? 대부분의 경우 ‘운’때문이 아닙니다. 우리는 공부만 잘 하고 열심히 일하면 성공하고 부자가 된다는 말을 신봉해 왔습니다. 그게 아니라 '부자 습관, 성공 습관'이 부자를 만들고 성공을 부릅니다.
부자습관이 부를 쌓는 토대입니다. 부자가 되는 사람에게는 부자가 되는 습관이 있고 가난한 사람에게는 부자가 되는 습관이 없거나 부족한 거죠. 비록 지금 가난하다 하더라도 부자습관을 지닌다면 언젠가는 부자가 됩니다.
부자습관 중 중요한 하나는 마시멜로 실험이 보여주듯이, 나중에 더 큰 보상을 얻기 위해 지금 당장의 작은 보상, 즐거움을 미루는 능력입니다. 이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습관처럼 길러지는 능력이죠. 모든 사람들은 원래 즉각적 만족, 즐거움을 추구합니다.
고액 연봉자임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사람들 많습니다. 그들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많이 벌수록 더 많이 쓴다는 겁니다. 큰 집에, 큰 차에 명품에, 호화 해외여행을 즐기는 데 번 돈을 다 써버립니다. 저축목표와 저축습관 없이 부자가 된 사람은 없습니다.
월급이나 수입처럼 벌어들인 돈이 아니라 자산이 부를 만듭니다. 지금 부자가 아니라면 지속적 소득을 창출하는 자산이 적거나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청춘을 다 바쳐 돈을 벌기 위해 일에 파묻혀 살다가 퇴직한 후에는 그저 그런 생활을 하게 됩니다. 축적된 자산이 없거나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부자들의 습관 중 하나는 금융이나 부동산에 대한 끊임없는 공부로 금융지식, 부동산 지식이 풍부하다는 것입니다.
잘 보면 모든 백만장자는 투자자나 사업가이지 월급쟁이는 아닙니다. 월급이나 수입을 모아서 적더라도 지속적으로 소득이 창출되는 자산으로 전환해나가는 습관, 이것이 자본주의사회에서 월급쟁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이 부자가 되는 길입니다.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