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라

해탈한 자산가 2023. 2. 13. 17:47
반응형

모든 상품에는 가치와 가격 있고 그것은 수요공급의 법칙이 통한다. 수요공급의 법칙을 모르는 사람은 없죠. 돈도 일종의 상품이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당연히 돈의 가격은 하락하게 되고, 돈의 가격 하락이란 실물자산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그때는 좋지만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게 되고, 돈의 가격인 금리는 떨어진다. 그래서 이런 간단한 게임의 룰을 아는 사람은 돈을 빌려서라도 실물자산에 투자한다.

도박판에서도 담력이 큰 자가 승자가 되듯, 자본주의라는 게임에서도 승자들은 겁에 질린 대중들이 공포에 휩싸여 도망쳐 나올 때 들어가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공포를 이겨낼 수 있는 담력의 소유자들이다.

 

사업으로 부자가 된 사람들 중 많은 사장님들이 사업성공으로도 돈을 벌었지만 주식이나 부동산가격이 상승해 돈을 번 경우도 많다.

 

보통사람들은 아파트를 사서 값이 오르면 좋아한다. 하지만 달랑 자기가 살 집, 한 채를 가진 사람은 돈을 벌지는 못한다. 두 채, 세 채를 가진 사람들이 돈을 벌죠. 거주하는 집 한 채는 엄밀히 말해 대차대조표상 자산이 아니라 비용에 가깝다. 야외 드라이브나 쇼핑할 때 몰고 다니는 승용차도 자산이 아니라 비용이다. 두 채 세 채의 집이 진짜 자산인 거죠. 깊게 생각할 줄 아는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잘 살펴보면 진짜 큰 돈을 버는 사람은 아파트를 지어서 파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아파트를 지어 팔아서 돈을 벌고, 또한 자기회사의 주식가격 상승으로 큰 돈을 벌게 된다. 

 

주식을 소유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주식을 산 회사에 돈을 대고 그 회사의 이윤을 나눠 갖는다는 뜻이다. 그 회사의 주인이 된다는 뜻이다.

 

흙수저 출신의 자산가가 이런 말을 하는 걸 들은 적이 있다. “내가 다른 친구들보다 훨씬 더 부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그 친구들보다 끊임없이 더 많은 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돈만 생기면 어디에 투자할까를 늘 생각했다. 최소한의 생활비를 빼고 모두 투자했다.

 

투자를 모르는 월급쟁이 마인드에서 하루빨리 탈피해야 한다. 돈에는 두 가지의 용도가 있다. 하나는 돈으로 돈을 낳게 하는 용도, 또 하나는 자신의 생활을 개선하는 용도이다. 전자를 우리는 투자행위라고 하고, 후자를 소비행위라고 부른다.  자기계발을 통한 자신의 가치 상승 역시 훌륭한 투자행위이다.

 

금융과 투자는 어려서부터 알아야 하고, 어려서부터 해서 습관화가 되어야 한다. 투자를 하면 안 보이던 돈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안목이 생긴다. 돈의 속성과 이치를 생각하게 해주는 힘을 길러주는 게 투자다.

 

누구든 한 달에 커피 한 잔 값 정도는 투자할 수 있다. 돈을 배우는데 투자만큼 좋은 것은 없다. 어려서부터 용돈으로 펀드나 ETF로 시장지수를 사게 해 복리의 마법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산 위에서 눈을 굴리면 커다란 눈덩이가 되듯이, 빠르게 시작한 투자는 정말로 커다란 목돈으로 나중에 돌아온다.

 

자본주의라는 치열한 경쟁시장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먼저 종자돈 마련이라는 자신만의 지독한 지옥훈련 기간, 그리고 공부와 훈련을 통한 실력과 내공을 기르는 시간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 그 이후에 투자의 세계로 뛰어드는 거다.

 

버는 돈이 적다고 한숨만 내쉴게 아니라 최대한 빨리 돈을 모아 주식, 부동산, ETF, 리츠, 펀드 등의 자산을 열심히 투자하는 길이다. 유산 없이 태어난 흙수저들이 자산가가 되는 길은 이 방법뿐이다.

 

실력과 내공이 쌓이게 되면 레버리지를 통한 투자효과 극대화도 가능해 진다. 결국 정답은 하루라도 빨리 가치상승 자산에 투자하라는 거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노쇠해서 일할 수 없는 날이 올 때를 대비 해야 한다. 내가 돈을 위해 일하는 게 아니라,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해야 한다.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