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ongikbuza.tistory.com/쩐(錢)의 세계에서도 수승화강(水昇火降)의 원리는 통한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쩐(錢)의 세계에서도 수승화강(水昇火降)의 원리는 통한다

반응형

수승화강(水昇火降)이란 차가운 기운은 올라가게 하고 뜨거운 기운은 내려가게 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한의학 원리 중 하나이다. 이것은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인체 에너지 순환의 원리다.

 

생각과 느낌도 에너지다. 수승화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행복한 기분이 든다. 이것은 건강과 장수의 비결이자 명상의 원리이다. 신장의 수기와 심장의 화기, 두 에너지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순환을 잘 하면 우리 몸 안에 있는 최고의 의사인 면역력과 자연치유력을 키울 수 있다고 한다

 

수승화강은 간단히 말해 기분이 좋은 상태다. 이 상태를 유지하려면 결핍의 마음에서 벗어나 매사에 감사해야 한다성경의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는 말 역시 수승화강의 상태를 의미한다

 

생각과 느낌은 에너지다. ()도 에너지이고 기(). 에너지와 기()는 순환이다. 부가 있는 곳에서 없는 곳으로 흐를 때 조화로운 순환이 이루어진다. 돈에는 사랑과 감사의 에너지가 있다. 그것을 믿는 만큼 돌아온다. 돈이 들어올 때만 고마워하고 기뻐해서는 안 된다. 돈을 쓸 때도 고맙고 기쁜 마음으로 써야 한다. 내 지갑에서 나가는 돈을 받는 사람을 생각하며 그 기쁨을 느낄 수 있을 때 돈의 수승화강이 이루어진다.

 

명상수련의 요체는 호흡에 있다. 들숨보다 길게 하는 날숨에서 수기(水氣), 들숨에서 화기(火氣)를 토해내는 호흡법이다. 돈을 사랑한다는 것은 자기분수를 알고 돈이 들어올 때는 화기와 함께 감사함을, 나갈 때는 수기와 함께 즐거움을 느낄 줄 아는 것, 이것이 돈의 수승화강 원리이다.

 

재복(財福) 있으려면 수승화강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돈 욕심내지 말고 돈을 사랑해야 돈의 순환이 일어난다. 돈 욕심을 내는 사람에게는 재운보다는 재앙이 들어오기 쉽다. 돈을 사랑하고 감사하는 사람에게 재복이 따르는 법이다.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없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마태복음 25 29절의 말씀이다. 얼핏 봐선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생략된 말이 있기 때문이다. 교회에서는 그것을 믿음이라고 말한다

 

『시크릿』과 『The Magic』의 저자 론다 번은 감사의 단어를 삽입한다. ‘감사의 단어를 삽입하면 무릇 감사하는 마음이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감사하는 마음이 없는 자는 그 없는 것까지 빼앗기리라가 된다. ‘감사는 수승화강의 에너지 순환에 가장 중요한 요소다.

 

행복은감사의 문으로 들어왔다가불평의 문으로 빠져 나간다.”는 서양 속담이 있다일본 한센병 환자의 어머니라 불리는 다마키 여인은 한센병 환자들의 요양원을 만들고 그들을 돌보다가 자기도 한센병에 감염된 것을 알게 되었다그날 일기에 그녀는 이렇게 썼다.

 

나병이 내 몸에 들어오니 육은 죽어가지만 영의 눈이 열린 것에 감사한다. 눈썹이 왜 있는지 몰랐는데 눈썹이 빠지면서 눈썹의 고마움을 알았다. 눈썹이 없으면 먼지가 온통 눈으로 들어가 시력이 떨어지면서 고통스럽다. 하나님은 눈을 지켜주시려고 눈썹을 주셨는데이제는 나에게 병을 주시어 마음과 영생을 지켜주시려고 하셨으니 더욱 감사하다.”

 

주역에서도 적선을 많이 한 가문에는 재복(財福)이 들어오게 마련이라고 가르친다. 주위를 기쁘게 하면 그 기쁨의 에너지가 순환해 자신에게로 되돌아오는 법이다. 적선은 세상의 찬 기운과 따뜻한 기운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수승화강의 원리를 실천하는 방법이다.   

 

인생의 시행착오는 자기분수를 모르고 과욕을 부리는 데서 온다. 좋은 일에 베풀 줄 알며 주변에 돈을 잘 푸는 사람들은 돈 벌려고 죽을 둥 살 둥 아등바등 하지 않는다. 알게 모르게 주위에서 도와준다. 작은 부자들은 성실근면으로 돈을 아껴서 부자가 되고 큰 부자는 하늘의 뜻대로 돈을 써서 부자가 되는 이치다. 욕망하는 것을 가지려고 아등바등 애쓰는 대신, 자신이 가진 것에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경지야말로 수승화강이 이루어진 경지다.

 

수승화강의 반대가 주화입마(走火入魔). 돈 독에 오르면 돈의 노예가 되고 주화입마에 빠지게 된다. 1994 5, 끔찍한 존속살해 사건이 벌어졌다. 100억 원대 자산가인 한의사 부부의 집에 불이 나 부부가 사망했다. 화재신고는 당시 23살의 아들이 했다. 아들이 부모의 몸을 칼로 찌르고 범행 현장에 불을 질러 화재로 위장했던 것이다. 아들은 부유한 무모 덕분에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조기 유학을 갔지만 잘 적응하지 못하고 술과 도박에 빠져 도박 빚이 3700만원에 이르렀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당시 신문기사를 보면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자식이 해달라는 것은 다 해주면서 키웠다. 잘못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어린 자식들에게는 성장 시기에 맞게 그가 감당할 수 있는 좌절을 이겨내도록 키워야 한다. 가지고 싶은 장난감을 모두 다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을 배워야 하고, 먹고 싶은 과자를 다 사먹을 수 없다는 것을 배워 욕망을 통제할 줄 알아야 한다.

감당할 수 있는 좌절들을 이겨냄으로써 아이는 무절제함을 극복할 수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게 된다. 사랑하는 자식에게 적절한 좌절과 결핍의 기회를 주지 못한 부모가 되레 잘못이 크다

 

TV에서 보는 동물의 세계에서는 배가 부르면 먹잇감을 더 이상 쫓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세계에서는 아무리 배가 불러도 사냥을 멈추지 않는 모습을 너무나 자주 본다. 돈이면 무엇이든 다 된다는 천민자본주의 사회에는 돈 독 오른 사람들로 넘쳐 난다. 정신적 각박함과 황폐함이 극에 치닫게 된다.

 

자신의 경제적 우월적 지위에 도취되어 경제적 약자를 무시하면서 자신만 치켜 세우려는 형태는 미련한 자의 오만이며 편견으로 스스로 함정에 빠져드는 일이다. 오로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돈을 추구하면 우주의 에너지 흐름을 끊게 만들고 주화입마에 빠지게 된다.

 

재물이나 출세로 인해 허망함, 자만심에 빠져 인생을 망가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세상에 하고 많은 사건과 비극은 돈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탐욕 때문이다. 돈에는 감정이나 선악이 없다. 단지 그것을 다루는 사람에게 있다. 돈도 권력도 인생도 그저 스쳐 지나가는 바람일 뿐이란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부자들의 돈에 대한 철칙은 절대로 돈의 노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돈에 벌벌 떨면서 돈을 모으려고 자신의 소중한 꿈과 시간과 소망을 다 포기하고, 자신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는 가족과 친구를 희생시키는 것은 돈의 노예, 주화입마의 상태에 빠져드는 것이다.  

 

재산을 모으기만 하는 '돈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재산을 품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몸에 피가 순환해야 하듯 돈이 돌고 돌아 시장을 활발하게 만들어야 사회 전체 경제가 발전하기 때문이다.

 

돈을 사랑하되 집착은 안 된다. 절대적 빈곤상태를 벗어나 근검절약 하면 재물의 많고 적음은 우리 인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지 못한다. 돈이 악이 아니라 돈에 집착하는 마음이 악의 뿌리다.  

 

돈을 소중하게 다뤄야 하지만 동시에 잘 쓰는 것도 중요하다이타심과 사랑의 동기로 돈을 추구하면 우리의 에너지는 낭비가 없고 축적되는 수승화강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