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를 살다간 천재 화가, 빈센트 반 고흐와 피카소, 세속적 측면에서, ‘고흐는 빈털터리였고 피카소는 갑부였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고흐와 피카소, 두 화가는 그림 값이 가장 비싼 화가로 손꼽힌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이 두 사람은 살았을 때는 너무나 판이하게 다른 삶을 살았다는 사실이다.
프랑스 파리에 가면 피카소 박물관이 있죠. 왜 피카소 박물관이 있을까? 그가 죽었을 때 상속세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현물로 납부 받기 위해서 세워졌다고 한다. 피카소는 초호화 생활에다 93세까지 장수했었고 여자복도 많았다. 반면에 고흐는 평생을 결혼도 하지 못한 외톨이에다 빈털터리로 37세때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비록 두 사람 다 무한한 창의력을 가진 천재 화가였지만 적어도 살아서 성공을 거둔 사람은 피카소였다. 이처럼 극단적으로 다른 삶을 살게 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고흐가 1890년에 그린 ‘가셰박사의 초상화’는 100년 뒤에 크리스티 경매장에서 8,250만 달러, 약 천억 원 가까운 가격에 낙찰되었다. 고흐는 지금에야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화가이자 가장 비싼 그림을 그렸던 화가가 되었지만 살아 있을 때 그는 평생을 돈 문제로 노심초사한 궁핍의 대명사였다.
그는 예술에 대한 열정은 광적이었지만 진작 그의 가난을 탈출시킬 그림 파는 일엔 무능력하기만 해 평생 딱 한 점의 그림을 판매했다. 그 그림은 ‘붉은 포도밭’이란 작품으로 400프랑, 지금의 우리나라 돈으로 치면 1~20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팔렸다고 한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들의 음모>에 “수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사람에게 팔 것이 없거나 파는 법을 모르기 때문이다”라는 글이 있다.
예술의 세계가 아닌 먹고 사는 문제가 걸린 삶의 현장에서 고흐가 무너진 이유는 자신이란 이름의 브랜드든 그의 예술작품이든 타인에게 파는 법을 몰랐기 때문이다.
1971년에 돈 맥클린이 불러 히트한 “빈센트”란 노래에 이런 가사가 있다.
“Vincent, This world was never meant for one as beautiful as you”
“빈센트, 이 세상은 당신같이 아름다운 이가 있을 곳이 못 돼”란 의미다.
고흐는 아름다운 영혼의 소유자였지만 황금만능이 판을 치는 이 세상에선 비참하게 빈털터리로 살다 간 화가였다. 사람 사는 이 세상은 영혼이 아름답다고, 착하다고, 돈과 재운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착한 백이, 숙제는 굶어 죽었고, 공자가 가장 아낀 제자였던 안회는 젊은 나이에 영양실조로 요절했다. 하지만 조폭 두목들 중에도 부자는 많다. 돈이란 선악을 가리지 않기 때문이다.
천재화가인 고흐와 피카소, 이 두 사람을 빈털터리와 갑부로 가른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두 사람의 마음속 그림, 생각이 너무 달랐다는 사실이다. 사람의 인생이란 그 사람의 생각이라고 한다. 생각이란 성격으로 포장되고 표정과 말로서 나타난다. 세상에 가장 잘 적응한 피카소와 그렇지 못한 고흐의 결정적 차이점인 생각은 바로 그들이 내뱉은 말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피카소는 항상 긍정적인 말과 함께 그것을 실천하려 노력했다. 그는 “난 미술가로서 꼭 성공할 거야”,”난 그림으로 억만장자가 될 거야”, “나는 갑부로 살다가 갑부로 죽을 것이다”라는 말들을 했다.
반면에 고흐는 그의 유일한 지지자였던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난 인정받지 못할 거야”, “난 비참하게 인생을 살아갈 거야”, “나는 돈과 인연이 없어”라는 부정적인 말들로 가득했다. 그는 동생에게 남긴 마지막 편지에서도 “나란 사람이 무슨 쓸모가 있을까?”라고 적었다.
말이 씨가 된다고 했다. ‘나는 비참하다, 불행하다’고 불평하면서 풍요로운 삶을 산 사람은 없다. 그래서인지 고흐의 얼굴은 늘 심각하고 외골수의 모습이었지요. 미소는 인복의 원천이다. 미소 짓지 않는 사람에겐 인복도 재물복도 가지 않는다. 정말 성공한 사람들은 힘들수록 얼굴 표정을 더욱 밝게 하고 의식적으로 웃는 사람들이다.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